친환경 자동차, 분류기준 재편···기술수준 반영

정책 / 김혜성 / 2021-01-14 17:49:40
  • 카카오톡 보내기
-세부시행 오는 7월 1일부터 시작

▲ 사진 = 세계투데이 DB.


[세계투데이 = 김혜성 기자]
정부가 친환경 자동차 분류기준을 새롭게 재편한다. 배기량 및 차체크기에 따른 에너지소비효율 기준 등 현실적 기술 수준에 맞는 재정비에 나선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는 “하이브리드차의 세제혜택의 기준인 에너지소비효율 선정시 배기량 및 차체크기를 고려한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요건 등에 관한 규정을 지난 12일 개정 및 고시했다"고 밝혔다. 
 

개정 된 규정은 즉시 시행되며, 에너지소비효율 기준의 세부시행은 오는 7월 1일부터 시작된다.
 

산자부 측은 "자동차관리법 체계와 친환경차의 기준을 일치시키기 위해 개정안을 마련했다”며 "이는 정비 및 세부적인 기술적 사항을 최근 변화된 기술수준 등을 반영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번 개정안에 따라 하이브리드차의 에너지소비효율 기준은 배기량만 따졌던 기존의 기준보다 상향조치되어 배기량 및 차체크기까지 고려 대상에 포함된다. 따라서 경형, 소형, 중형, 대형으로 나눠 품목에 따라 에너지소비효율 기준을 적용받는다. 이에 친환경차는 에너지소비효율에 따라 개별소비세 및 취·등록세의 감면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승용차와 화물차를 포함한 초소형전기자동차의 추가는 정부가 전기 상용차 보급확대 등 전반적인 전기자동차의 차종 다양화 계획 추진을 위해서다.

 

초소형전기자동차 규정기준은 복합 1회 충전시 주행거리가 55㎞ 이상이며, 최고속도 60㎞/h 이상이다.

 

고속전기자동차 규정도 상향 조치 되었다. 기존에는 1회 충전시 차종에 상관없이 주행거리가 57㎞ 이상으로 동일하게 적용됐지만, 앞으로는 승용차는 150㎞ 이상, 경·소형 화물차와 중·대형 화물차도 각각 70㎞, 100㎞ 이상으로 상향 조치 되었다. 또, 경·소형 승합자동차도 70㎞ 이상으로 차종을 세분화시켜 기준을 보다 향상시켰다.

 

최고속도 기준도 상향되었다. 승용차는 기존의 60㎞/h 이상에서 100㎞/h 이상으로, 화물차와 승합차는 각각 80㎞/h, 100㎞/h 이상이다.
 

한편, 전기버스의 1회 충전시 주행거리의 기준도 50㎞ 이상에서 100㎞ 이상으로 상향 조치 되었다.


김혜성 기자 ckdtjd0367@segyetoday.com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