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코로나19 지원금 노린 스미싱·보이스피싱 주의보 발령
- IT / 김재성 기자 / 2020-06-15 19:00:20
- '보이스피싱 기기' 밀수입 적발 건 지난 3월과 비교해 10배 이상 늘어
![]() |
▲ 사진= 서울시 제공. |
[세계투데이 = 김재성 기자] 지난 5월부터 정부와 지자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관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및 소상공인, 프리랜서 등에 대한 현금성 지원이 시작되면서 스미싱, 보이스피싱 등 다양한 전자금융사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주의보를 발령하고,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시에 따르면 일반적인 피해 유형은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지원금 신청이나 신청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넷주소(URL)를 보내 클릭을 유도하는 방식인데, 이를 클릭할 경우 악성코드가 설치돼 소액결제가 되거나 휴대전화에 저장된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빼가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소상공인에 대한 저리대출과 자금 지원이 늘어나면서 기존의 대출을 저금리대출로 전환해 준다는 금융사기도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리 빼낸 개인정보로 전화 상담을 유도한 후 신용등급 확인 등을 빙자해 금융정보를 빼가는 것은 물론 최근에는 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해 직접 만날 것을 제안, 대면접촉 후 협박을 통해 돈을 갈취한 피해도 있다.
실제로 인천본부세관 발표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기기 밀수입 적발 건수가 지난해부터 올해 3월까지 2건에 불과했으나 올해 4월 이후 약 2달 반 동안 총 27건이 적발, 약 10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관련 지원금을 노린 스미싱 등을 위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서울시는 스미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출처가 불분명한 URL이 포함된 문자는 절대 클릭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지원금과 관련해 공공기관이나 지자체, 금융기관에서 발송하는 안내문자메시지에는 인터넷주소 링크를 클릭하거나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경우는 없다.
권태규 서울시 공정경제담당관 “평소에도 스마트폰 백신프로그램, 스마트폰 보안 강화 등을 생활화해 전자금융사기를 예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재성 기자 kisng102@segyetoday.com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