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심근경색·뇌졸중 발생 주의'신속한 응급상황 대처방법'
- 문화정보 / 김진호 / 2019-12-28 08:35:34
![]() |
▲ 칼바람 불면 급성심근경색 주의보…'2시간'이 관건. 연합뉴스 제공 |
질병관리본부는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겨울철에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을 주의해달라고 26일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월별사망자는 10월부터 급증해 다음해 1월에 정점을 찍고 3월까지 높게 나타나는 추세를 보였다.
기온이 내려가면 혈관이 급격하게 수축하고 혈압이 상승해 심뇌혈관질환이 잘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만 심뇌혈관질환은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사망이나 장애를 막을 수 있어 조기 증상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적정한 치료를 위한 골든타임은 심근경색 2시간 이내, 뇌졸중 3시간 이내다. 조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연락해 가장 가깝고 큰 병원 응급실에 가야 한다.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이 30분 이상 지속하거나 호흡곤란, 식은땀, 구토, 현기증 등이 나타날 때는 심근경색을 의심해야 한다. 또 한쪽 마비나 갑작스러운 언어 및 시각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 등은 뇌졸중의 조기 증상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평소 정기적으로 혈압과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를 확인하는 등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생활수칙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담배를 끊고 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로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매일 운동은 30분 이상하고 적절한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심뇌혈관 질환자의 경우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일 때는 외출을 자제하고 활동량을 줄여야 한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하려면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해야 한다"며 "응급상황에 대비해 평소 심근경색 및 뇌졸중 증상을 미리 알고 대처요령을 익혀두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 |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보건복지부 제공 |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