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버닝썬수사무마' 수사확대…'윤총경의혹' 경찰청 압수수색
- 사건/사고 / 홍정원 / 2019-10-15 19:23:37
'버닝썬 부실수사 의혹' 수사 확대 가능성
![]() |
▲ '버닝썬 유착 의혹' 윤 총경 |
'버닝썬 부실수사 의혹' 수사가 확대될 전망이다. 검찰이 '버닝썬 사건'에서 경찰총장으로 불린 윤모(49) 총경의 사건 무마 의혹과 관련, 경찰청 본청과 수서경찰서를 압수수색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박승대 부장검사)는 15일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수사국 내 킥스(KICS)운영계와 강남구 개포동 수서경찰서 경제범죄수사과에 검사와 수사관들을 보냈다.
윤 총경이 관련된 것으로 의심되는 사건 기록과 담당 경찰관들의 PC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킥스는 경찰과 검찰 등 형사사법기관들이 형사사건 관련 기록을 공유하는 시스템인데 수서경찰서는 지난 2016년 윤 총경이 주식을 받고 무마해준 것으로 의심되는 특수잉크 제조업체 녹원씨엔아이(옛 큐브스) 정모(45) 전 대표의 사기·횡령·배임 피소 사건을 수사했다. 검찰은 당시 경찰이 정 전 대표를 불기소 의견으로 송치하는 데 윤 총경이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본다.
검찰은 이날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해 윤 총경이 자신의 권한 밖에 있는 사건들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개입했는지 확인할 방침으로 전해졌다. 윤 총경은 경찰의 버닝썬 의혹 수사 과정에서 가수 승리 측과 유착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윤 총경은 승리 등이 함께 있던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경찰총장'으로 불렸다. 윤 총경은 승리와 그의 사업파트너 유인석 전 유리홀딩스 대표가 서울 강남 주점 '몽키뮤지엄'의 식품위생법 위반 신고가 들어오자 강남경찰서 경찰관들을 통해 단속 내용을 확인하고 유 전 대표에 알려준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를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 6월 윤 총경을 직권남용 혐의로 기소해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사건을 송치받았다. 이후 녹원씨엔아이 정 전 대표가 연루된 사기·횡령·배임 사건을 무마해주고 수천만원대 주식을 받은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등)를 추가로 포착해 지난 10일 윤 총경을 구속했다. 정 전 대표는 중국 광학기기 제조업체에 투자하는 과정에서 저지른 회삿돈 수십억원 횡령 혐의로 지난 6일 구속 기소됐다.
검찰이 법원에 뒷돈 수수 등 윤 총경 범죄 혐의를 소명해 구속영장을 발부받고도 경찰청을 상대로 추가 자료 확보에 나서면서 경찰 버닝썬 사건 부실수사 의혹으로 수사망을 넓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경찰은 "명운을 걸고 수사하겠다"며 버닝썬 사건에 수사 인력 150여명을 투입했으나 수사 결과가 부실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연예인의 뒤를 봐줬다는 의혹을 받는 윤 총경의 뒷돈 수수 혐의도 규명하지 못했다.
윤 총경은 조국 전 법무장관이 청와대 민정수석일 당시 민정수석실 행정관으로 파견 근무했다. 윤 총경은 경찰과 버닝썬 유착 의혹 수사가 가속화된 지난 3월 민정수석실 선임행정관과 여러 차례 텔레그램 메시지를 주고받고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김학의 전 법무 차관이 나오는 '별장 성접대 동영상'에 대한 민갑룡 경찰청장의 국회 발언을 놓고 선임행정관이 윤 총경에게 "더 세게 했어야 했다"는 메시지를 보낸 흔적도 드러났다. 법조계에서는 '버닝썬 사건 부실수사' 배후에 청와대 민정수석실과 경찰 지도부가 있다는 의혹이 지속되고 있다.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