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계 "대우조선 파업에 공권력 투입 반대“…”원만한 중재를"
- 종교 일반 / 유제린 기자 / 2022-07-22 13:57:18
![]() |
▲대우조선 하청노동자 문제 해결 위한 3개 종교 기자회견 / 사진 = 연합뉴스 |
“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들은 30% 삭감된 임금을 원래대로 회복시켜 달라고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공권력 투입 대신 대화를 통한 원만한 해결을 요구한다"
정부가 대우조선해양 사내하청 파업 현장에 공권력 투입을 검토 중인 가운데 개신교를 비롯한 3대 종교 단체가 모여 대화를 통한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정의평화위원회를 비롯해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천주교 서울대교구 노동사목위원회 등 3대 종단 단체들은 19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지금 즉시 대화의 장을 마련하고 적극적으로 중재해 문제해결에 발 벗고 나서라"고 요구했다.
3대 종단 단체는 “노동자 파업은 수많은 대화 시도가 무산되자 어쩔 수 없이 선택한 최후의 수단”이라며 “정부는 노동자들의 절박한 행위를 불법점거로 규정하고 엄정 대응을 예고했으나 이런 대처는 반드시 파국으로 이어질 것이고 전 국민적인 저항을 낳을 뿐”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대주주인 산업은행을 향한 발언도 이어갔다. 단체는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의 대주주이자 실질적 관리자로서 파업으로 인한 손실만 따지며 수수방관할 것이 아니라 성실히 교섭의 자리를 마련하고,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우리 종교인들은 대우조선 하청노동자들의 파업이 공권력 투입이 아니라 노사정 3자 간 대화를 통해 모두가 살 수 있는 길을 찾는 성숙한 방식으로 해결돼야 한다”며 이번 문제에 대해 연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현재 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들은 임금 ‘원상회복’을 주장하며 파업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2014년 세계조선 경기 하락 등으로 침체기를 맞은 이후, 하청노동자들의 실질임금은 30%가량 일방적으로 삭감됐다. 관련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선업 구조조정 이전인 2014년과 비교해 2021년 임금 실수령액은 31.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선박 수주가 늘어나며 조선업에 활기가 돌고 있지만 원청인 대우조선해양은 “실적이 개선되려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가 되어야 한다”며 임금 인상 여력이 없다는 입장을 반복하고 있다.
파업이 이어지면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9일 “노든 사든 불법은 방치되거나 용인돼선 안 된다"며 공권력 투입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세계투데이=김재성 기자 kisng102@segyetoday.com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