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광고 시 ABC인증 활용 중단…매체 효과성·신뢰성 따진다

정책 / 김명상 기자 / 2021-12-01 13:23:46
  • 카카오톡 보내기

 

▲사진 = 픽사베이 제공

 

앞으로 정부 광고 집행 시 열독률 등 매체 효과성과 신뢰성이 핵심지표로 활용된다. 신뢰성 논란이 많았던 한국 ABC협회의 인증부수나 포털 제휴 여부는 제외됐다.

 

1일 문화체육관광부는 정부 광고 개선지표를 확정·발표했다. 연간 1조원(2020년 기준 1893억원)에 달하는 정부 광고를 합리적으로 집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국ABC협회의 인증부수는 정부광고 집행 시 근거로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한국ABC협회의 유료부수 조작이 사실로 드러난 여파로 문체부는 지난 78ABC부수의 정책적 활용을 중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체부가 지난 7월 발표했던 지표와 비교해보면, 사회적 책임으로서 개별 매체사 노력을 확인할 수 있는 편집위원회·독자(권익)위원회를 추가하고, 의견 수렴 과정에서 제외 의견이 많았던 포털 제휴 여부는 없앴다.

 

 

▲2022년 적용 예정인 인쇄매체 지표 /자료 = 문체부 제공

 

새로운 정부 광고 개선지표는 핵심지표(효과성·신뢰성)와 기본지표로 구성됐다. 핵심지표는 효과성 측면에서 이용률을, 신뢰성 측면에서 사회적 책임을 담고 있다. 사회적 책임은 언론중재위원회의 직권 조정 및 시정 권고 건수, 언론자율심의기구인 신문윤리위원회와 광고자율심의기구의 심의 결과인 주의·경고 건수, 개별 매체사의 편집위원회·독자(권익)위원회의 설치·운영 여부로 이뤄졌다.

 

기본지표는 매체사의 정상 발행 여부, 관련 법령 위반 여부, 제세 납부 여부, 직원의 4대 보험 가입·완납 여부다.

 

정부 광고 개선지표는 인쇄매체의 경우 2022년부터, 방송 등 기타 매체의 경우 2023년부터 적용된다. 언론재단은 개선지표를 통한 광고 집행을 돕기 위해 정부광고통합지원시스템(GOAD)을 개편한다. 개편된 시스템은 내년 11일부터 정부 기관 등 광고주들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하고, 110일부터 정식 운영할 계획이다.

 

황희 문체부 장관은 "정부 광고 개선지표를 통해 정부 광고주들이 합리적으로 광고를 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광고주·광고 내용·매체명·게재일 등 정부 광고 집행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이라며 "지표 개선과 집행내역 공개를 통해 정부 광고 제도가 국민의 관점에서 더욱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명상 기자 terry@segyetoday.com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