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사 제7차 한미지도자 한반도평화포럼
- 교계/교단 / 전장헌 선임기자 / 2022-12-11 12:17:47
![]() |
▲ 한반도평화메달 수상자 기념촬영 |
이 행사는 주한 유엔사와 한미연합사, 그리고 주한미군사 등지에서 정해진 기간 동안 성실하게 한국 근무를 마치고 돌아가게 되는 장병 중에서 선정된 이들을 특별히 초청하여 한반도평화 메달을 수여하고 한국근무기간 동안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한반도평화메달은 우리민족교류협회가 지난 2013년 한국전쟁 정전60주년 기념사업 차원에서, 한반도 분단의 현장이자 상징인 DMZ 녹슨 철조망과 한국전쟁에서 희생된 참전용사들의 넋이 깃들어 있는 전쟁 당시에 사용되어졌던 탄피 등을 녹인 특수한 합금으로 대한민국 국민들의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담아 제작한 것이다.
이날 1부 한반도 통일기원예배는 민교협 북방선교회장 정귀석 목사의 사회로 시작되어 UNC, CFC, USFK 군종실장인 김철우 목사의 한반도 평화를 기원하는 대표기도가 있었고, 한국교회연합 대표회장인 송태섭 목사의 예레미아 25:11~14절 말씀을 본문으로 “고난의 역사를 기억하라”는 제목의 메시지가 선포된 후, 한국원로목사총연합회 공동회장인 임광재 목사가 ‘국가 위정자들과 국민화합을 위하여’, 전 한국기독교부흥사협의회 회장 정여균 목사(원당소망교회 담임)가 ‘한반도평화와 복음화를 위하여’, 민교협 북방선교회 실무총재 김진우 장로가 ‘한미동맹강화와 국가안보를 위하여’ 특별기도가 있었다.
이어 진행된 2부에서는 조직위원장 김영진 전 농림부장관의 개회사와 ‘70년이 넘는 분단시대를 마감하고 평화통일의 역사를 새롭게 쓸 수 있도록 여러분께서 어느 곳에 계시든지 지혜와 경험을 모아 주시고, 한반도 평화 정착과 통일을 만들어 가는 뜻 깊은 여정에 함께해 주실 것을 부탁 드린다’는 민교협 총재 황우여 전 교육부장관 겸 사회부총리의 대표인사, 그리고 오세훈 서울특별시장과 박광온 전 국회법사위원장, 정명훈 미주한인총연합회장 등의 축사가 있은 후, 주한유엔사, 한미연합사, 주한미군사 등에서 선정된 12명을 포함한 총15명께 한반도평화메달이 수여되었다.
특별히 이 자리에는 유엔사에 근무중인 Coras 프랑스군 대령을 비롯하여 Ettori 대령, 그리고 Gigante 이태리군 대령 등 다국적 지휘관들이 수상자로 참석해 눈길을 끌었고, 총 수상자 15명중 대령이 6명으로 향후 본 행사의 발전 가능성을 가늠케 했다.
지난 30여 년 동안 한미동맹강화와 한반도 평화통일운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온 민교협 송기학 이사장은, ‘처음에는 본 행사가 미군측 군종실 차원에서 진행해 왔으나 이젠 유엔사령부 차원에서 진행됨으로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만들었다’고 자평하고, 향후 좀더 내실 있는 행사가 되도록 적극 힘쓰겠다'는 소감을 피력했다.
오늘 수상자들께 수여해 드린 한반도평화메달은, 6.25 한국전쟁의 상징이자 한반도 분단의 현장인 DMZ 녹슨 철조망과 6.25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의 넋이 깃들어 있는 전쟁 당시에 사용되어졌던 탄피 등을 녹여 제작하였다. 메달의 목걸이는 한국전쟁 당시 남북양측 참전국과 전후 대한민국 복구사업을 지원했던 국가들의 국기를 이미지화 하여 전쟁당사자들간의 화해와 평화를 기원함과 동시에 전후 지원국들에 대한 감사의 뜻을 표현하였다.
The Peace Korea Medal awarded to the winners today was made by melting the DMZ rusty barbed wire, which is a symbol of the Korean War and the field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by melting the casings used during the war in which the soul of the Korean War Veterans were enthralled. The necklace on the medal imaged the national flag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he war between the two Koreas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countries that supported the post-war restoration project of the Republic of Korea.1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