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인협회는 26일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기준 1000대 기업 가운데 수출 기업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한경협에 따르면 응답 기업 150개사는 미국 관세 정책이 지속될 경우 올해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4.9%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8.3%, 자동차·부품 7.9%, 석유화학·석유제품 7.2%, 일반기계 6.4%, 반도체 3.6%, 철강 2.8% 등의 순으로 수출액 감소를 전망했다.
반면 선박 업종은 10%, 의료·바이오헬스 업종은 1.6%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관세 정책이 지속될 경우 국내 수출 기업 매출은 6.6%, 영업이익은 6.3% 감소가 전망된다. 응답 기업 가운데 81.3%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양국 기업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한국 기업에 부정적이고 미국 기업엔 긍정적'이란 응답은 14.7%를 나타냈다.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경영 애로를 묻는 항목엔 24.9%가 '잦은 정책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를 꼽았다. 이어 '글로벌 경기 악화' 24%, '미국 수출 감소' 18.8%, '환율변동 리스크 증가' 17.5%, '중국 덤핑 수출에 따른 피해' 10.5% 순이었다.
실무적 애로 사항으로는 53.4%가 '미국 수입업체와 단가 조정 협상'을 지목했다. 미국 통관 절차 정보 관련은 21.3%, 원산지 판정 기준 정보 관련은 13.3%를 차지했다.
기업 대응 방안으로는 수출시장 다변화 26.9%, 글로벌 생산 구조 재조정 19.8%, 환율 리스크 관리 강화 16.5%, 동종업계 공동 대응체계 구축 15.1%, 원자재 리스크 관리 강화 12.3%, 투자 연기·축소 7.6%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 대응 방안으로는 44.6% 기업이 협상을 통한 관세율 최소화를 주문했다. 수출시장 다변화 지원을 희망하는 곳은 13.6%로 나타났다. 13.1%는 면세 품목 최대화를 꼽았다. '경쟁국과 동일한 관세율 적용'은 9.4%를 차지했다.
정부가 원활한 관세 협상을 위해 추진해야 할 방안으로는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45.3%), 금리 인하(23.4%), 조선산업 협력 방안 제시(12.5%), 미국 제품 수입 확대(8.9%) 등을 제시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중 간의 한시적 관세 인하 합의에도 관세 정책 불확실성은 상존한다"며 "정부는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 양상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비관세장벽을 해소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협상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한국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