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열병 발생, 재난수준으로 대처해야
- 기획·이슈 / 김영욱 / 2019-09-25 09:16:57
바이러스 확산 방지… 강력한 대책 강구
![]() |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4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점관리지역을 경기·인천·강원 전체로 확대해 이동을 차단하는 방역관리 강화 대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ASF)은 멧돼지과 동물만 감염되는 ’치사율이 높은’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사람을 포함해 멧돼지과 이외의 동물은 감염되지 않는다.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전파될 경우 양돈 사업에 큰 피해를 주는데 우리나라는 ASF를 제1종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잠복기는 4~19일 정도로, 급성일 경우 치사율이 100%에 가깝다. 풍토병으로 자리 잡은 지역에서는 만성으로 발병하기도 한다. 모든 연령의 돼지가 감염되며 발병 후 갑자기 죽는 것이 특징이다. 전파 속도는 사육 형태나 관리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병원성과 감염량 등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발열과 함께 장기와 피부 등에 충혈 및 출혈이 나타난다. 심급성형은 고열(41∼42℃)과 식욕결핍, 피부 충혈 등의 증상을 보이며 1~4일 후 죽는다.
본래 아프리카 사하라 남부 지역의 풍토병으로 2000년대 들어 유럽에 전파되었다. 세계동물보건기구(OIE)는 2018년 1~5월까지 전 세계 14개국에 ASF가 발생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중 10개국이 동유럽과 러시아, 4개국은 아프리카 지역이다.
ASF가 결국 국내에서도 발생하고 말았다.
특히 경기 북부지역에서 ASF 발생이 이어지고 있다. 2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7일 ASF가 파주에서 발생한 이후 연천(18일), 김포(23일)로 확대됐다. 24일에는 파주와 강화도에서 또다시 확진사례가 나왔다.
일주일새 5곳에서 ASF가 발생했다. 경기 북부의 방역망이 뚫린 것이다. 그간 당국은 첫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10㎞의 방역대를 설정해 한강 이북 접경지역 방역에 집중해왔다. 그런데 이 방어벽이 무너진 것은 물론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전국 확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당국 역학조사 결과 ASF는 차량에 의한 전파 가능성이 제기됐다. ASF가 처음 발생한 파주 농장을 방문했던 차량이 2~4차 확진사례가 나온 농장을 방문한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문제는 이들 차량이 경북 등 남부지방까지 운행한 사실이 밝혀져 비상이 걸린 상태다.
ASF는 조기 방역이 성패의 관건이다. 이 기간을 놓치면 끔찍한 사태가 발생한다. 일단 전염되면 100%가 죽는다. 백약이 무효다. 지금 막지 못하면 양돈농가가 초토화될 수 있다. 양돈과 연관된 산업과 요식업 등 서민 경제도 큰 어려움에 봉착할 수 있다.
정부가 ASF확산에 재난사태 수준으로 경계를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정부는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과도하다 싶을 정도의 강력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그리고 농장 관계자들도 의심사례를 즉시 신고해 조기 차단할 수 있도록 솔선해야 한다. 그래서 단기적으로 피해가 있더라도 ASF 바이러스가 확산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