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메모리 특허 건수 한국 기업이 '1위'

사건/사고 / 최진영 / 2017-11-14 14:51:48
  • 카카오톡 보내기

▲한국이 세계 반도체 메모리 시장에서 특허 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출처=픽사베이)

[서울=세계TV] 최진영 기자 = 한국이 세계 반도체 메모리 시장에서 특허 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14일 "반도체 메모리의 설계, 생산, 패키징을 포함한 제조 기술 분야의 국내 특허출원은 지난 5년간(2011~2015) 해마다 4000여 건이 출원되어 총 2만 665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다출원 기업으로는 △삼성전자(4388건, 21.2%)와 △SK하이닉스(3739건, 18.1%)가 각각 1, 2순위를 차지했다.

이어 △인텔(759건, 3.7%) △TSMC(572건, 2.8%) △마이크론(357건, 1.7%) △도시바(140건, 0.7%)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은 '설계'에서 '완제품'까지 제조공정 전반에 걸쳐 세분화된 요소 기술들을 대거 출원한 반면 국내에 생산설비가 없는 외국 기업은 '구조적 설계'위주의 기술들을 선별해 소량 출원했다.

한편, 대형 특허분쟁의 격전지인 미국에서는 같은 기간 동안 국내 특허건수의 약 3배에 달하는 5만 8838건의 특허가 출원됐다.

다출원 기업으로는 △SK하이닉스(2594건) △삼성전자(2566건) △도시바(2289건) △마이크론(2120건) △IBM(1977건) △웨스턴디지털(1289건) △인텔(1008건)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도 국내 기업들이 선두를 다투며 1, 2순위를 차지했다.

특히 이들 글로벌 기업들의 미국 특허 출원 건수는 2011년 417건에 불과했지만, 2012년 1154건, 2013년 3933건으로 급증한 후 2014년 4188건, 2015년 4151건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허청은 "60년 동안 대용량 스토리지 시장을 지배했던 하드디스크(HDD)가 SSD(Solid State Drive)로 교체되면서, SSD에 탑재되는 낸드 플래시 관련 특허가 최근 3년간 집중적으로 출원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마정윤 특허청 전자부품 심사팀장은 "국내 기업들이 D 램 및 전원이 꺼지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보존하는 3D 낸드 플래시 특허를 미리 선점하고 제품을 양산·판매하면서 반도체 메모리 시장의 판도를 이끌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의 하드웨어적 핵심 요소인 반도체 메모리의 수요는 급속히 증가할 것이므로 우리나라 기업들의 지위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