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평균 강수량 31.4일 가뭄일수
- 이슈 / Issac Kwon 기자 / 2024-01-28 15:59:56
2023년 우리나라는 기상청이 금요일 기준으로 평균 31.4일의 가뭄일수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 주목할 만한 2022년 157일에 비해 큰 변화를 의미한다.
극심한 기간 동안 강수량이 부족한 경우 가뭄일로 분류되었다.
전국적으로 남부 지역은 36.6일이라는 기록적인 기상 가뭄을 겪었다. 반면 중부지방은 26일 단축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가뭄은 건기가 흔한 2월부터 4월까지 가장 흔했다.
동복댐 등 주요 지역의 강수량은 2022년 800mm에 불과해 2021년 강우량의 약 60% 수준이다. 농사에 쓸 물이 부족하고 생산량도 예전만큼 나오지 않아 많은 지방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당국에서는 물이 가장 필요한 작은 섬으로 물을 수송하기 위해 선박을 사용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해 왔다.
지속적인 지구 온난화로 인해 물 위기는 더욱 증폭될 것으로 추정된다.
Korea’s Average Precipitation 31.4 Drought Days Last Year
In 2023, Korea witnessed an average of 31.4 drought days repor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on Friday. This signified a large shift from the previous year's notable count of 157 days in 2022.
A drought day is classified when there is a lack of precipitation during avid periods.
Within the national landscape, the southern region endured a noteworthy 36.6 meteorological drought days. Meanwhile, the central region grappled with a lesser 26 days.
These droughts were most common from February to April, where the dry periods were common.
Significant locations like the Dongbok Dam only recorded 800 mm of rain in 2022, about 60% of what they received in 2021. Many provinces are suffering due to its lack of water for farming, not generating as much products as before.
Some authorities have tried to resolve this issue by using water vessels to transport water to small islands where water is most needed.
The water crisis is presumed to be amplified due to the constant growth of global warming.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