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저소득층·신혼 등 공공주택 2800호 공급

사회일반 / 이연숙 기자 / 2021-03-16 11:38:21
  • 카카오톡 보내기
저소득층 대상 2500호, 신혼부부 대상 300호 공급
가구당 저소득층 최대 1억 1천만원, 신혼부부 최대 2억 4천만원 이내
▲ 전세금지원형 공공주택 신혼부부 신청자격. 서울시 제공

 

[세계투데이 이연숙 기자] 서울시가 주거안정을 위해 올해 전세금 지원형 공공주택 2800호를 공급한다고 16일 밝혔다. 이 중 2500호는 저소득층에게, 300호는 신혼부부에게 공급한다.

서울시에 따르면 전세금지원형 공공주택은 입주대상자가 거주를 원하는 주택을 직접 물색해 서울주택도시공사에 신청한다. 서울주택도시공사는 전세가능 여부를 검토한 후 계약자가 돼 주택소유자와 전세계약을 체결한다. 이를 다시 입주 대상자에게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방식의 공공임대주택이다.

계약 시 저소득층의 경우 서울주택도시공사가 가구당 1억 1천만 원 이내에서 전월세 보증금의 95%를 저금리로 지원한다. 나머지 5%는 입주자가 계약금으로 내게 된다. 저소득층 중 희망자에 한해 전월세 보증금의 98%까지 지원 가능하다. 전월세 보증금이 1억 1천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보증금을 입주자가 부담하면 된다.

신청 대상자는 입주자 모집 공고일 현재 서울시에 거주하고 사업대상지역(각 자치구)에 주민등록이 등재된 무주택 세대구성원이다.

저소득층의 경우 1순위는 생계·의료수급자, 한부모가족, 주거지원시급가구,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70%이하인 장애인, 고령자이다.

신혼부부의 경우 종류별로 1순위, 2순위, 3순위의 기준이 각각 다르며 구체적인 세부 기준을 확인해야 한다.

시는 총 2800호 중 2500호는 기초생활수급자와 한부모가족 등을 대상으로, 300호는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공급한다. 지역별 고른 안배를 위해 전년도 신청접수 현황을 고려해 자치구별 비례 배분해 공급한다.

지원대상 주택은 전용면적 85㎡ 이하 규모(1인 가구는 60㎡ 이하)의 순수 전세주택과 보증부월세주택(반전세)이다. 보증금한도액은 저소득층의 경우 순수 전세의 전세금 또는 보증부월세의 기본 보증금과 전세전환보증금의 합이 2억 7500만 원 이내(신혼부부Ⅰ의 경우 3억 3750만 원 이내, 신혼부부Ⅱ의 경우 6억원 이내)인 주택이다.

임대기간은 2년이며 자격이 유지되는 한 2년 단위로 9회까지 재계약이 가능해 최대 20년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신혼부부 전세임대Ⅱ의 경우 2회 재계약이 가능하며 입주자가 자녀가 있을 경우 추가 2회까지 재계약 가능해 최대 10년까지 지원된다. 다만 재계약 시점에 시행되는 입주 자격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전세금지원형 공공주택 지원 신청은 저소득층 1순위, 신혼부부는 24일부터 30일까지다. 저소득층 2순위는 31일부터 4월 2일까지 주민등록등재 거주지 주민센터(동사무소)를 통해 접수하면 된다.

입주 대상자 및 예비입주자는 신청마감일로부터 약 3개월 전후 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하며 대상자에게 개별 통보할 계획이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서울시 내 주택임대시장의 전월세 가격 상승으로 서민의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만큼 2008년부터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전세금 지원형 공공주택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한"며 "올해에는 2800호를 공급해 저소득 서민과 신혼부부들의 주거안정에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