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휴대전화 등 수출호조에 8월 경상수지 66억달러 흑자
- 사회일반 / 윤교중 기자 / 2024-10-08 09:26:29
비IT품목 수출 둔화·수입 증가 영향…분기배당에 본원소득수지도 축소
서비스 12.3억달러 적자…해외여행 증가에 여행수지 -14.2억달러
한은 "IT 품목 중심 수출 증가세 계속…하반기 전망치 무난히 달성"
![]() |
▲ 반도체·휴대전화 등 수출호조에 8월 경상수지 66억달러 흑자 2024.2.13 |
반도체·휴대전화 등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넉 달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 8월 경상수지는 66억달러(약 8조8천9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앞서 4월 외국인 배당 증가 등으로 1년 만에 적자(-2억9천만달러)를 기록했다가 5월(89억2천만달러) 반등한 뒤 6월(125억6천만달러), 7월(89억7천만달러)에 이어 4개월 연속 흑자다.
하지만 흑자 규모는 6년 9개월 내 최대였던 6월의 절반 수준이고, 7월보다도 약 24억달러 줄었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부장은 "수입이 2개월 연속 증가했고, 비IT(정보기술)품목의 수출 증가세가 둔화한 영향"이라며 "본원소득수지도 증권투자 분기배당 지급이 늘면서 흑자 폭이 축소됐다"고 말했다.
다만 1년 전인 작년 8월(54억1천만달러)과 비교하면 약 12억달러 많다.
1∼8월 누적 경상수지는 536억달러 흑자로, 지난해 같은 기간(106억7천만달러)보다 429억3천만달러 늘었다.
한은은 IT품목을 중심으로 한 수출 증가세에 따라 경상수지 확대 흐름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며 지난 8월 제시한 하반기 전망치(353억달러)도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송 부장은 "9월 통관기준 무역수지 흑자가 8월보다 확대됐고, 9월에는 분기배당 지급 영향도 해소된다"고 말했다.
이어 "AI(인공지능) 투자 수요가 지속되고 있고 중국의 경기부양 노력, 미국 경제 연착륙 기대 등 거시경제적 환경과 투자 관련 움직임을 보면 양호한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송 부장은 "물론 불확실성은 있다"며 "주요국 경기 변화, 우리 경제의 내수 회복 속도, 중동지역 전개 양상 등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
8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65억9천만달러)가 작년 4월 이후 17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흑자 폭은 7월(83억3천만달러)보다 작았지만, 작년 8월(52억달러)보다는 컸다.
수출(574억5천만달러)이 1년 전보다 7.1% 늘었다. 앞서 지난해 10월 1년 2개월 만에 전년 동월 대비 반등한 뒤 열한 달째 증가세가 이어졌다.
품목 중에서는 정보통신기기(44.0%)·반도체(38.3%)·석유제품(0.6%)이 늘었고, 지역별로는 EU(16.1%)·동남아(15.3%)·미국(11.1%)·중국(7.9%)·일본(6.6%) 등으로의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반대로 화학공업제품(-4.4%)·승용차(-3.6%) 등은 뒷걸음쳤다.
수입(508억6천만달러)은 4.9% 증가했다. 원유(30.1%)·석유제품(13.4%)·천연가스(5.6%) 등 원자재 수입이 6.1%, 수송장비(46.0%)·반도체(18.7%)·반도체 제조장비(14.7%) 등 자본재 수입이 7.8% 각각 늘었다. 귀금속·보석류(282.1%)와 직접소비재(2.7%)·승용차(0.6%)를 비롯한 소비재 수입도 2.0% 불었다.
서비스수지의 경우 12억3천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는 7월(-23억8천만달러)이나 작년 8월(-15억5천만달러)보다 줄었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특히 여행수지 적자가 14억2천만달러에 이르렀다. 여름철 해외여행 성수기의 영향으로 적자 폭이 7월(-12억6천만달러)보다 확대됐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본원소득수지 흑자는 7월 31억5천만달러에서 8월 약 절반 수준인 16억9천만달러로 줄었다. 외국인 증권투자에 대한 분기 배당 지급 등으로 배당소득수지 흑자가 같은 기간 27억9천만달러에서 11억8천만달러로 감소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8월 중 49억3천만달러 늘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44억6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12억1천만달러 각각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86억4천만달러 불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도 채권 위주로 26억2천만달러 확대됐다.
![]() |
▲ |
윤교중 기자[세계투데이]
theheaven27@naver.com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경상수지#흑자#반도체#휴대전화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