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물가상승률 2.7%…'석유류 역대급 하락'에 21개월만의 2%대(종합)

사회일반 / 엄민지 / 2023-07-04 08:48:45
  • 카카오톡 보내기
생활물가·근원물가도 둔화흐름…전기·가스·수도 20%대 급등세 지속

▲ 휘발유 9주·경유 10주째 판매가격 하락

이번 주에도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 판매 가격이 동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 

2일 서울 시내의 한 주유소 모습. 지난 1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에 오피넷에 따르면 

6월 넷째 주(25∼29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3.7원 하락한 

L(리터)당 1천572.1원, 경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4.9원 내린 1천382.7원으로 집계됐다. 2023.7.2

 

물가상승률이 5개월 연속 둔화하면서 21개월 만에 2%대로 낮아졌다. 석유류 가격이 역대 최대폭 하락하면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을 크게 떨어졌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6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1.12(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2.7% 올랐다. 전월 대비로는 보합세(0.0%)를 보였다.

2%대 물가상승률은 지난 2021년 9월(2.4%) 이후로 21개월 만이다.

물가상승률은 작년 12월 5.0%에서 올해 1월 5.2%로 소폭 상승한 뒤 2월 4.8%, 3월 4.2%, 4월 3.7%, 5월 3.3% 등으로 둔화세를 이어가고 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5월 3.2%에서 6월 2.3%로 떨어졌다. 생활물가가 2%대로 둔화한 것은 27개월 만에 처음이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 가격이 하락하고 서비스 부문의 상승률이 둔화하면서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021년 9월 이후 처음으로 2%대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품목 성질별로는 석유류 가격이 1년 전보다 25.4% 떨어지면서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85년 1월 이후로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경유는 32.5%, 휘발유는 23.8%, 자동차용 LPG는 15.3% 각각 내렸다.

전체 물가상승률에 대한 석유류의 기여도는 -1.47%포인트에 달했다. 석유류가 물가상승률을 1.5%포인트가량 떨어뜨렸다는 뜻이다.

뒤집어 말하면, 석유류 이외의 다른 품목들의 가격은 상당수 올랐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전기·가스·수도는 작년 동월 대비로 25.9% 올랐다. 전기요금 인상 등과 맞물려 20%대 오름세를 이어간 것이다. 서비스도 외식 가격(6.3%)을 중심으로 3.3% 상승했다. 농·축·수산물은 전년 동월 대비로는 0.2% 오르고 전월 대비로는 0.1% 내렸다.

라면 가격은 작년 동월보다 13.4% 올랐다. 최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언급 이후로 라면 출고가격이 7월부터 소폭이나마 인하된 변수는 아직 반영되지 않은 셈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4.1% 올라 지난해 5월(4.1%)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의 상승률도 5월 3.9%에서 6월 3.5%로 0.4%포인트 떨어졌다.

김보경 심의관은 "7월까지는 기저효과를 고려할 때 물가가 많이 안정될 것 같고 하반기는 그에 비해 하락폭이 둔화할 수 있다"며 "국제 원자재 가격과 환율 등은 상방 요인이고, 국내 경기에 따라 하방 요인이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출처:연합뉴스)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