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오늘 기준금리 5연속 동결할 듯…안갯속 경제에 '관망'
- 사회일반 / 엄민지 / 2023-08-24 08:06:45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4% 유지 또는 0.1%p 안팎 하향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4일 오전 9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3.50%인 기준금리의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경제·금융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2월과 4월, 5월, 7월에 이어 다시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 |
▲ 의사봉 두드리는 이창용 총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3.7.13 [사진공동취재단] |
다시 늘어나는 가계부채, 2%포인트(p)까지 벌어진 미국과의 금리 격차, 원/달러 환율 상승세 등은 금리 인상 요인이다.
하지만 최근 중국발(發) 경기 타격이 우려되고 미국의 추가 긴축 여부가 아직 불투명한 만큼 대다수 금통위원들이 "일단 지켜보자"며 금리를 묶고 관망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유가 상승과 원화 약세 등이 물가의 상방 리스크(위험)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국내 경기 회복이 아직 가시화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며 "특히 중국발 금융리스크가 불거지면서 경기 하방 위험도 더 커졌다"고 밝혔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도 "우리나라 실물 경제 상황이 나쁘고 중국 시장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환율이나 가계부채를 잡기 위한 금리 인상의 효과는 단기에 그쳐 실익이 없는 반면 부작용은 더 클 것"이라며 "금리를 올리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서 문제가 터지거나 내수와 수출이 다 죽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 |
▲ '글로벌 성장엔진' 중국 경제에 빨간불…'도미노 디폴트' 우려 고조(CG) [연합뉴스TV 제공] |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 전망도 내놓는데, 올해 성장률의 경우 기준금리와 마찬가지로 현재 수준(1.4%)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중국 부동산개발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가 최근에 불거져 그 여파를 아직 가늠하기 어려운 데다, 중국 단체 관광 허용 등의 긍정적 효과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중국 경기 리스크(위험)를 바로 반영해 한은이 성장률 눈높이를 0.1%포인트(p) 안팎 낮출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아울러 만약 기준금리가 또 동결될 경우, 4월 이후 수 개월째 이어지는 가계부채 증가세, 역대 최대 한·미 금리 역전폭, 원화 약세(원/달러 환율 상승) 등에 대해 이창용 한은 총재가 기준금리 인상 외 어떤 대응책을 제시할지 주목된다.
![]() |
▲ [그래픽] 한미 기준금리 추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26일(현지시간)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는 기존 5.00~5.25%에서 지난 2001년 이후 22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5.25~5.50%로 상향됐다. |
(출처:연합뉴스)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