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통계청의 2014년과 2024년 가계동향조사를 바탕으로 연령대별 소득과 소비지출 및 소비성향을 분석한 결과를 담은 ‘세대별 소비성향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1일 발간했다. 10년 전과 비교해 30대 이하를 제외한 모든 세대에서 소득이 늘었으나 전 연령대에서 소비지출이 증가하지는 않았다.
평균소비성향은 2014년 73.6%에서 2024년 70.3%로 3.3%포인트 하락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의 평균소비성향이 69.3%에서 62.4%로 내려 하락폭이 가장 컸다. 주택 구입 이자, 세금 같은 ‘비소비지출’이 많기 때문에 일반 소비지출 비중을 줄인 영향이라는 게 대한상의의 분석이다.
30대 이하(73.7%→71.6%), 40대(76.5%→76.2%), 50대(70.3%→68.3%), 70대(79.3%→76.3%) 등 다른 연령대도 10년 전보다 평균소비성향이 낮아졌다. 30대 이하는 월평균 가처분소득(348만2000원→346만8000원)과 소비 금액(256만7000원→248만3000원)도 줄어들었다. 대한상의는 “30대 이하는 지갑을 못 열고, 60대는 지갑을 안 여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소비 구조도 달라졌다. 10년간 지출 비중이 증가한 항목은 보건(7.2%→9.8%), 오락·문화(5.4%→7.8%), 음식·숙박(13.7%→14.4%), 주거·수도(11.5%→12.2%) 등이었다. 반면 식료품·음료(15.9%→13.6%), 의류·신발(6.4%→4.8%) 등 전통적인 생필품과 교육(8.8%→7.9%) 등은 하락했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소비 부진은 단순한 불황 때문이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의 인구·소득·심리 등이 변화해 나타나는 현상인 만큼 단기 부양책으로 한계가 있다”며 “세대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활력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출처: 한국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