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이르면 내달 경제 정상화 예상…세계 점유율 높일 기회"
- 정책 / 김규리 / 2020-04-13 14:00:52
롯데면세점과 신라면세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타격을 견디지 못하고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면세구역. 연합뉴스 제공
우리나라가 내달부터 코로나19 사태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 가운데는 유통이 가장 빨리 회복할 전망이며 항공을 비롯한 관광, 정유·화학 등의 회복세는 올 4분기는 지나야 할 것으로 관측했다.
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3일 이런 내용을 담은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에 따른 산업별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연구소는 중국의 사례를 고려했을 때 최선의 경우 한국 경제가 이르면 5월부터 정상화할 것으로 기대하면서 "중국을 봤을 때 격리 정책 이후 한 달이 지나면 확진자 증가세가 정점을 찍고, 이후 1∼2개월 정도가 지나면 정상적인 경제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소는 '정상적 경제생활로의 복귀'가 코로나19의 완벽한 종식이 아니라 정부가 통제 가능한 상황에 진입했다는 뜻이라고 부연했다.
연구소는 특히 "주요국보다 빨리 정상화한다면 세계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일 기회가 될 것"이라면서도 "방역 실패로 확진자가 다시 증가하면 비슷한 격리 과정을 다시 진행해야 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산업별로 봤을 때 내수 비중이 큰 유통업은 3분기 이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소는 "국내 코로나19 확산이 이대로 진정세를 보이면 정부의 소비 진작책과 억압 수요(pent-up demand) 회복 등으로 3분기 이후 소비재와 유통업이 회복할 것"이라며 "학교의 순차적 개학과 중국 경제 정상화 등으로 교육업과 화장품업도 회복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세계적 대유행이 심화함에 따라 국제적으로 이동 제한이 길어지면서 항공업과 관광•숙박업은 4분기가 지나서야 업황 정상화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관광•숙박업은 코로나19의 대유행이 끝나더라도 현지 관광업자의 폐업 등으로 인프라 재구축에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연구소는 향후 세계 경제는 국제 공급망과 유통망을 중심으로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보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주요국 공장의 연쇄적 셧다운(폐쇄)으로 부품 공급 중단과 생산 차질이 빈번해짐에 따라 적시 공급(Just-In-Time) 시스템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며 "주요 산업 부품•소재의 공급선 다변화로 위험을 분산할 유인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 보면서도 "유통망의 경우 인적•물적 이동 제한의 장기화에 따른 물동량 감소로 재무 구조가 튼튼한 대형 업체 위주로 사업이 재편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