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국민소득, 한국전쟁 이후 '500배 증가'
- 정책 / 홍정원 / 2019-12-19 09:15:02
![]() |
▲ 부산항. 연합뉴스 제공 |
국민 생활수준을 보여주는 우리나라 1인당 명목 국민총소득(GNI)이 한국전쟁 이후 500배로 증가했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은 국민소득 통계 기준 시점을 2010년에서 2015년으로 개편하는 작업을 마무리하고 새로 편제된 통계자료를 한은 경제통계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제공한다고 19일 밝혔다. 새로 바뀐 시계열 자료는 이전 자료 대비 소득지표가 대체로 상향 조정됐다. 이전 자료와 차이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일례로 1953년 1인당 GNI는 76달러로 신·구 시계열 수치에 차이가 없었다. 반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1349달러에서 3만3434달러로 상향 조정됐다. 이로써 새 통계에서 지난해 한국의 1인당 GNI(달러화 기준)는 1953년 대비 503배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옛 기준에선 468배였다.
명목 국내총생산(GDP·한화 기준)은 1953년 477억원에서 지난해 1893조원으로 3만9665배나 증가했다. 1954∼2018년 중 연평균 실질 GDP 성장률은 7.2%로 집계돼 옛 기준 대비 0.1%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1인당 GNI 증가율은 연평균 10.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쟁 이후 평균 7년마다 1인당 소득이 2배로 늘어난 것. 10년 단위로 보면 1950년대 3.6%에 머물렀던 연평균 1인당 GNI 증가율은 1960년대 10.4%, 1970년대엔 22.8%, 1980년대엔 12.9%로 30년 동안 연평균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1990년대 들어선 증가율이 6.2%, 2000년대에는 6.1%로 줄었다. 2010∼2018년에는 증가율이 6.4%로 소폭 상승했다. 2010년대 들어 달러화 기준 1인당 GNI 증가율이 높아진 것은 실질소득 증가율과 물가상승률 하락을 원화가치 상승이 상쇄했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국민소득 통계는 한 나라의 경제력이나 국민 생활수준을 나타내는 핵심 경제지표다. 경제현실을 잘 반영하기 위해 5년마다 통계편제 기준을 바꾼다.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