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전문인력 수급 불균형, 시급히 해결 필요
- 사건/사고 / 정인섭 / 2018-10-15 19:29:33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이상민(더불어민주당, 대전유성을)의원은, 세계 블록체인 시장은 향후 5년간 10배 성장 예상되지만, 국내 블록체인 기술수준은 미국, 중국의 1/5수준에 머물러 있고, 전문인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수급 불균형이 심각하므로, 블록체인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을 조속히 혁신 할 것을 촉구하였다.
‘제2의 인터넷 혁명’으로 불리는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모든 산업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파괴적인 혁신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세계 블록체인 시장은 향후 5년간 10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25년이면 전 세계 총생산의 10%가 블록체인 기술로 저장될 것(’16, WEF)이라 평가 하였고 블록체인 유관시장은 ’25년 1,760억불, ’30년 3조 1,000억불로 성장(’17, 가트너)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한다.
세계 각국은 블록체인 기술의 성장 잠재력을 고려하여 금융, 물류,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을 시도하고, 기술개발을 적극 추진 중이다.
블록체인 특허출원(’18.1, 특허청) 은 미국 497건, 중국 472건, 한국 99건, 일본 36건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민의원은, “미국, 중국, 영국 등 주요국은 블록체인 분야에 우수인력을 양성하고 산업 현장에 공급함으로써 선순환 생태계 구축 노력 중이나, 국내는 블록체인 기술인력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만큼 블록체인 업계의 구인경쟁이 치열하며 인력난이 매우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밝혔다.
이의원은, “급속도로 발전하는 블록체인기술은 ICT 뿐만 아니라 모든 미래 산업에 근본적 영향을 미쳐 국가 경쟁력을 판가름할 중요한 기술인만큼, 국내 불록체인 양성 교육이 인원수 위주의 형식적인 교육이 아닌 기업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심도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블록체인 산업에서 국내 기업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조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